탄력성 - 수요의 가격탄력성 개념, 계산방법, 탄력성 종류, 결정요인

탄력성은 경제학에서 그래프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탄력성 계산이 중요한 이유는 경제학자들이 사회현상에 대해서 분석을 할 때 탄력성 값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를 막기 위해서이다.(탄력성 값에 따라서 그래프상 곡선(수요, 공급)의 기울기가 달라진다. 즉, 결과값이 달라지는 것이다.)

탄력성은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있는데, 그중에서 오늘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개념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이란 가격 변화 1%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수요량 변화 %를 의미한다.

 

계산방법

수요의 가격탄력성 = ㅣ수요량 변화율 / 가격 변화율ㅣ =ㅣ△Q / △Pㅣ× P / Q

 

참고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값을 표기할 때는 보통 절댓값으로 표기한다.

 

예시문제

초콜릿을 예로 들겠다.

초콜릿의 가격이 1000원에서 1200원으로 상승하였고, 가격이 상승함으로 인하여 수요량이 1000개에서 900개로 줄어들었다. 이때 초콜릿 가격의 변화는 200원이고 커피 수요량의 변화는 100개이다.

 

즉, ㅣ100 / -200ㅣ = 0.5 = ㅣ△Q / △Pㅣ

 

이걸 구하면 이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구해보자. 

 

1200원일 때 수요의 가격탄력성 : 0.5 × 1200/900 ≒ 0.67

1000원이었을 때 수요의 가격탄력성 : 0.5  × 1 ≒ 0.5

 

이렇게 탄력성이 2개가 존재하면 탄력성의 중간값을 계산해야 한다.

 

여기에서 중간값을 구하는 공식은 [P의 평균값 /  Q의 평균값]이다.

계산을 해보면 P의 평균값은 1,100이고 Q의 평균값은 950이므로

중간값은 대략 1.16 정도이다

 

0.5 × 1.16 = 약 0.58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이해하기

가격탄력성에 대한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서 극단적인 예시를 사용하겠다.

탄력성은 크게 완전 탄력적과 탄력적, 비탄력적과 완전 비탄력 이렇게 4가지로 나뉜다.

우선 완전 탄력적과 완전 비탄력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완전 탄력적 수요

완전 탄력적 수요란 가격이 상승할 때 수요량이 0으로 떨어지는 즉, 가격탄력성이 ∞(무한대)인 것을 말한다.

극단적인 예를 들어 커피숍으로 설명하겠다. 길가에 무수히 많은 커피숍이 있고 모두 아메리카노만 판매를 하고 있고 맛은 모두 똑같다고 가정해보자.

그중에서 모든 커피숍에서는 1000원에 아메리카노를 판매하지만 A 가게는 2000원에 아메리카노를 판매하고 있다.

1000원에 판매하는 카페가 많은데 굳이 A가게에서 2000원이나 주고 사겠는가?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절대 사지 않는다.

이렇게 대체할 것이 많을 때를 완전 탄력적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래프상 곡선은 수평이다.

 

완전 비탄력적 수요

완전 비탄력적 수요란 가격이 변화하더라도 수요량에 변화가 전혀 없는 즉, 가격탄력성이 0인 것이다.

극단적인 예를 들어 한국 내에 담배로 들겠다. 흡연자들은 이해하겠지만 2015년에 담배 값이 2배 인상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금연에 크게 효과가 없었다고 했다.(물론 엄청나게 치솟으면 금연에 효과가 있겠지만 극단적인 예시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그래프상 곡선은 수직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대체제(대체가능성)

대표적인 예로 대중교통이 있다. 만약 지하철과 시내버스의 요금이 동시에 올랐다고 가정해보자. 이럴 경우 사람들은 평소에 이용하던 교통수단을 계속 이용할 것이다. 

이제 지하철 요금만 올랐다고 가정해보자. 이렇게 되면 시내버스 이용에 큰 불편함이 없다고 한다면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이 감소하게 된다.

대중교통의 경우는 대체할 것이 많이 없기 때문에 비탄력적인 편일 것이다.

시간(변화의 적응기간)

기름값이 엄청난 가격으로 폭등을 한다고 해서 당장 차에 대한 수요는 큰 변화로 줄지 않는다. 하지만 이 기간이 지속되게 되면 사람들은 전기차를 찾게 될 것이고 차에 대한 수요가 점차 줄어들 것이다.

필요성 여부(사치재와 필수재)

어떤 바이러스 치료에 꼭 필요한 약과 같이 꼭 필요한 것은 필수재로써 가격탄력성이 크지만, 어떤 특정 재화 없이도 충분히 살아가는데 지장이 없을 때에는 그것을 사치재라고 하는데 공산품이 대부분 이에 해당되며 가격탄력성이 작다.

지출 비중(소비자의 소비에서 특정 재화에 지출되고 있는 비율)

내가 사업을 하는 사람이라서 주기적으로 임대료를 내고 있을 때, 갑자기 임대료가 크게 올랐다. 이럴 경우는 가격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탄력적인 편이고, 평소 내가 먹지 않는 음식의 값이 크게 올랐을 때는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비탄력적인 편이다.

 

+ Recent posts